토의 내용
- Entity 프로퍼티를 UseCase나 VM에서나 가지고 있어도 상관은 없을거같다.
- 뷰에 대한 모델은 엔터티에서 삭제되거나 추가된 모델이 될 수 있는데,, 네이밍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?? (엔터티가 뷰의 모델과도 같을 수 도 있음)
- Model
- Info
- 자체 네이밍
- 네비게이션바 커스텀에 대해 기존 피그마의 디자인은 시스템에서 제공해주는 44 높이보다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?
- cell 내부에 indexPath나 id를 프로퍼티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? → 석현이형이 말한 그 기술을 쓰면 indexPath를 찾을 수 있다.(내부 프로퍼티 줄임)
- 폰트가 기존 시스템 폰트와 타입이 다르다. 기존 폰트의 폰트페밀리로 폰트 명을 출력한 결과 피그마의 폰트와 다르다. 그렇다면 피그마에 정의한 lineheight는!?,, 만약 lineheight가 기본이라면 그냥 UIFont사용할 수 있지만,lineheight, 글자간 간격이 다를 경우 Attributed String을 사용해야 한다!
토의 결과
- Entity는 UseCase가 저장프로퍼티로 가지고 있는다. ?? 조금더 고수님께 자문을 구하고 결정해보자!
- 뷰에 관한 모델은 View.Model 타입(struct)으로 정의
- Cell input/output 바인딩은
cell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해야할 경우에만 추가!! 유동적으로:)